Sinchon Barun internal medicine 내과 클리닉

내과클리닉

| 간 질환 |

img

01 A형 간염 A형 간염은 20~30대가 전체 환자의 70~80%를 차지합니다.
음식물, 환자의 대변을 통한 경구 감염, 주사기를 통한 감염(습관성 약물 중독자), 혈액제제
또는 환자 주변인에게 전염되거나 인구밀도가 높은 곳에서 집단 발생되기도 합니다.

A형 간염의 증상

  1. icon 피로감이나 메스꺼움,
    구토, 식욕부진, 발열, 우측 상복부의 통증
  2. icon 일주일 이내에 황달 징후가 나타나며, 검은색의 소변,
    탈색된 대변과 전신이 가려운 증상

A형 간염의 치료

  • 고단백 식이 요법과 충분한 휴식
  • 증상이 심한 경우 입원 치료로 증상 완화

img

02 B형 간염 B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 등 체액에 의해, 또는 성 접촉이나 수혈, 오염된 주사기의 재사용으로 인해 감염될 수 있으며, 치명적일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B형 간염의 증상

  1. icon 쉽게 피로해짐
  2. icon 소변의 색이 진해지고,
    심할 경우 황달 증상
  3. icon 구역, 구토
  4. icon 치명적인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음
  5. icon 근육통 및
    미열 발생

B형 간염의 예방

  1. icon B형 간염이 있는 산모가 아기를 출산하는 경우, 출산 전 B형 간염 백신과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여 신생아가 B형 간염에 걸리지 않도록 합니다.
  2. icon 우리나라는 B형 간염이 매우 많이 발생하여 모든 국민이 B형 간염 백신
    주사를 접종해야 하며, 투여 후 항체 형성 검사 또한 필요합니다.

img

03 지방간 지방간은 간 내에 과도한 지방이 쌓여 발생됩니다.
과음으로 인한 알코올 지방간과 술과 관계없이 비만, 당뇨, 고지혈증 등과 연관되어
발생하는 비 알코올 지방간이 있습니다.

지방간의 증상

  1. icon 증상이 거의 없으며, 간혹 우상복부
    불편감이나 통증을 느낄 수 있음
  2. icon 전신 쇠약감, 피로

! ) 대부분은 다른 이유로 간 기능 검사를 하거나 초음파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므로 술을 많이 마신다면 기본적인 진찰과 검사가 필요합니다.
* 비 알코올 지방간은 대부분 비만, 당뇨, 고지혈증 등이 있는 환자에서 발병되므로 위험인자가 있다면 지방간에 대한 검사를 주기적으로 받아야 합니다.

지방간의 치료

  • 고비만, 음주, 고지혈증, 당뇨병 등의 요인 교정 및 제거
  • 식이 요법, 운동 요법 병행